깃허브 데스크탑
SVN을 사용하다 오랜만에 다시 깃을 사용하려던 중 깃허브 데스크탑을 발견했다. 깃처럼 많은 명령어를 커버할 수 있는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지만 일단 직관적이라 계속 사용할 생각이다.
깃허브 데스크탑 설치
아래 사이트에서 깃허브 데스크탑을 다운하여 설치한다. 설치 과정은 어렵지 않다. 다만 설치 시 깃허브 아이디를 묻는다.
리포지토리 생성
설치를 완료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고 세 가지 방법으로 내 컴퓨터의 프로젝트 폴더, github의 repository를 깃허브 데스크탑에 연동할 수 있다.

Clone a repository from the internet
깃허브에 이미 생성되어있는 리포지토리를 내 컴퓨터로 가져온다.
원하는 깃허브 리포지토리를 Your repositories에서 선택하고 이를 옮길 내 컴퓨터의 경로를 Local path에서 선택 후 Clone버튼을 누른다.


Create a New Repository on your hard drive
내 컴퓨터에 리포지토리를 생성한다. 생성할 리포지토리의 이름 등을 입력하고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한다.
이름(Name)과 저장할 경로(Local Path) 외에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렇게 생성한 리포지토리가 깃허브에 바로 업로드되는 것은 아니다. 온라인에 올리고 싶다면 Push를 해야 한다.
상단의 Repository의 Push를 선택한다.

업로드할 이름(Name)을 적고 Publish repository를 선택한다.

Add an Existing Repository from your hard drive
내 컴퓨터에 있는 리포지토리를 온라인에 업로드한다. 단순히 폴더가 아닌 리포지토리를 선택해야 한다. 다시 말해 폴더 안에 .git 폴더가 존재해야한다. .git폴더가 없다면 Create a New Repository on your hard drive를 선택해야 한다.
내 컴퓨터의 리포지토리 경로를 선택하고 Add repository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도 리포지토리가 온라인에 올라가는 것은 아니라서 Push과정이 필요하다.
